재물을 아끼려다 동생을 죽게 하다 [陶朱公長男도주공장남] <史記사기>
도주공(陶朱公) 범려(范蠡)가 도(陶) 땅에 살면서 막내아들을 얻었는데, 막내아들이 장성할 무렵, 둘째 아들이 살인을 저질러 초나라 옥에 갇혔다. 도주공이 말하였다. “사람을…
동양고전에서 배우는 삶의 지혜와 처세술, 인문 블로그. 한시, 채근담, 위로야화, 격언연벽, 소창유기, 유몽영, 신음어, 한비자, 전국책, 어구사전 등 다양한 고전을 제공합니다.
도주공(陶朱公) 범려(范蠡)가 도(陶) 땅에 살면서 막내아들을 얻었는데, 막내아들이 장성할 무렵, 둘째 아들이 살인을 저질러 초나라 옥에 갇혔다. 도주공이 말하였다. “사람을…
망첩[望帖], 망체[妄諦], 망초[莽草], 망초[望草], 망초존범[亡楚存凡], 망촉[望蜀], 망촉지의[望蜀之意], 망촉지탄[望蜀之歎], 망추선령[望秋先零], 망추이락[望秋而落], 망충[網蟲], 망취[妄取], 망측[罔測], 망측부도[罔測不道], 망치[罔治], 망칠[望七], 망칭[妄稱], 망칭안한[莽稱安漢]
망천거사[輞川居士], 망천도[輞川圖], 망천별업[輞川別業], 망천사우[望川祀宇], 망천장[輞川莊], 망천한거[輞川閒居], 망천행락[輞川行樂], 망천후[望天犼]
망참[望參] 매달 음력 보름날에 사당에 참배하는 일을 이른다. 망창[莽蒼] 한 눈에 바라보이는 얼마 멀지 않은 거리. 아스라이 바라보이는 곳. 풍경이…
장축(張丑)이 연(燕)나라에 인질이 되었는데, 연왕(燕王: 惠王혜왕)이 그를 죽이려 하니, 도망해서 국경을 벗어나려다 국경을 지키는 관리에게 붙잡히고 말았다. 장축이 말하였다. “연왕이…
제(齊)나라와 한(韓)나라와 위(魏)나라가 연합하여 연(燕)나라를 공격하였다. 연나라에서는 태자(太子)를 보내 초(楚)나라에 원군을 청하였다. 초왕(楚王: 경양왕頃襄王)은 경양(景陽)을 장군으로 삼아 연나라를 돕게 하였다.…
돈후한 사람이라야 비로소 큰 일을 맡길 수 있으니 한나라 왕조를 안정시킨 이는 필연코 강후였고 신중한 사람이라야 비로소 큰 공을 이룰…
증자처럼 노둔한 사람도 홀로 도를 깨달아 전했으니 자질이 사람의 진보를 제한할 수 없음을 알 수 있고 안자처럼 가난한 사람도 그…
제(齊)나라가 위(魏)나라를 공격하려고 하였다. 위나라는 사람을 시켜 순우곤(淳于髡)에게 이런 말을 하게 하였다. “제나라가 위나라를 공격하려고 합니다. 위나라의 재난을 풀 수…
조(趙)나라가 천하의 제후를 끌어들여 제(齊)나라를 치려고 하였다. 이에 소진(蘇秦)이 제(齊)나라를 위해 조왕(趙王: 혜문왕惠文王)을 설득하고자 글을 올려 말하였다. “신(臣)이 듣건대, 옛날…
소진(蘇秦)이 이태(李兌)을 설득하기 위하여 말하였다. “낙양(雒陽)의 승헌리(乘軒里)에 사는 소진이라고 합니다. 집안은 가난하고, 어버이는 늙고, 낡은 수레 하나도 없고, 늙은 말…
한 사람의 신하에게 굽히고 천하의 제후에게 이기는 것[一臣屈而勝天下]과 한 사람의 신하에게 이기고 천하의 제후에게 굽히는 것[勝一臣而爲天下屈] 중 어느 쪽이 중한가. 한번 망한 나라는 두 번 다시 일으킬 수 없고, 한 번 죽은 병졸은 두 번 다시 살릴 수 없다.